분류 전체보기(253)
-
[소방설비기사] 감지기회로의 종단저항 설치 기준
종단저항이란?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감지기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하는 저항이다. 종단저항 설치 기준 ㄱ. 점검과 관리가 쉽고 용이한 곳에 설치할 것 ㄴ. 전용함 설치 시 바닥에서 1.5m 이내의 높이에 설치할 것 ㄷ. 감지기회로의 끝 부분에 설치할 것. 만약 종단감지기에 설치 시 구별이 쉽도록 해당 기판 및 감지기 외부 등에 표시할 것. ※ 무반사 종단저항이랑 헷갈리지 않도록 한다. ( 무반사 종단저항 : 전송로로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종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누설동축케이블 끝 부분에 설치하는 저항이다. )
2022.08.18 -
[소방설비기사] 송배전식과 교차회로방식
구분 송배전식 교차회로방식 목적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감자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용 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제연설비 분말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청정약제소화설비) 가닥수 산정 루프된 곳 2가닥, 기타 4가닥 말단과 루프된 곳 4가닥, 기타 8가닥
2022.08.18 -
[항공] 쉘 모델 (SHELL MODEL)
'호킨스(Hawkins, 1975)'는 '에드워드(Edward, 1972)'가 고안한 기존의 "SHEL 모델"을 수정하여 새로운 "SHELL 모델"을 그림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는 많은 항공기 사고에서 밝혀진 원인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유용한 수단이 되었다. 또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추진하는 인적요인에 대한 이론적 모태가 되기도 하였다. SHELL 모델의 중심에는 'L', '라이브웨어(Liveware)'가 있는데, 이는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S'는 '소프트웨어(Software)'로서 자신과 관련된 법, 규정, 절차, 각종 메뉴얼, 점검표 등 즉 소프트웨어 관계를 의미한다. 'E'는 '환경(Environment)'로서 날씨, 기온 등은 물론 조명, 습도, 소음 등의 물..
2022.08.18 -
[일반기계기사] 절삭 이론 - 구성인선 (Built Up Edge)
(1) 구성인선의 정의 연성(延性)이 큰 재질을 절삭할 때 칩(chip)의 일부가 공구에 달라붙어 공구의 날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이를 구성인선이라 한다. (2) 구성인선의 장단점 장점: 안정된 구성인선은 공구에 달라붙어 공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칩과의 접촉길이를 짧게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단점: 불안정한 구성인선은 탈락될 때 공구의 일부와 같이 떨어져 공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크기가 주기마다 바뀌기 때문에 가공면에 흠집을 내고 진동을 일으켜 가공면의 표면 정도와 치수 정밀도를 떨어뜨린다. (3) 구성인선의 과정 발생 ---> 성장 ---> (최대) ---> 분열 ---> 탈락 (1/10~1/1200s 주기) (4)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a) 절삭 깊이를 작게 (b) 경사각을 크게 날 끝을 ..
2022.08.18 -
[일반기계기사] 형상 모델링 - 3차원 모델링 (wire, surface, solid)
1. 종류 a)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Wire Frame Modeling) b) 서피스 모델링 (Surface Modeling) c) 솔리드 모델링 (Solid Modeling) 2. 3차원 모델링의 장단점 a)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Wire Frame Modeling) 장점 1) 모델 작성이 쉽다. 2) 처리 속도가 빠르다. 3) 데이터 구성이 간단하다. 4) 3면 투시도 작성이 용이하다. 단점 1) 물리적 성질을 계산할 수 없다. 2) 숨은선 제거가 불가능하다. 3) 간섭체크가 어렵다. 4) 단면도 작성이 불가능하다. 5) 실체감이 없다. 6) 형상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은 3면 투시도 작성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작업이 곤란하다. 대신에 물체를 빠르게 구상할 수 있고, 처리..
2022.08.18 -
[일반기계기사] 형상 모델링 - 솔리드 모델링 표현방식 (B-Rep & CSG)
1) B-Rep (Boundary Representation) 'B-Rep'이란 Boundary Representation의 약자로 직역하자면 경계표현이다. 즉, 입체(Solid)를 둘러싸고 있는 면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자세히 말하자면, 물체의 점(vertex), 모서리(face), 면(face)의 상관관계를 이용해서 물체를 형상화한다. 따라서, 입체 내의 모든 점과 면과 모서리의 상관관계를 설정해야 하므로 많은 메모리를 차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장점 단점 3면도, 투시도, 전개도 작성이 용이 많은 메모리 차지 화면 재생 시간 단축 중량 계산이 곤란 데이터 상호 교환 용이 입체의 내부 해지 유한요소법(FEM) 적용 표면적 계산 용이 B-Rep 방식은 표현 방식을 조금만 살펴봐도 알 수 있듯이,..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