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3)
-
[일반기계기사] 형상 모델링 - 베지어 곡선(Bezier Curve)
베지어 곡선 (Bezier Curve) ㄱ. 소개 :: 베지어 곡선은 컴퓨터 분야에서 중요한 매개 곡선(parametic curve)으로, '드 카셀죠'의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졌다. 베지어 곡선은 간단히 말해서, 양 끝점의 위치벡터와 내부 조정점을 이용하여 그리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 응용가공에서 주로 사용하는 베지어 곡선은 2차, 3차 베지어 곡선이다. 1차 베지어 곡선은 직선이며, 4차 이상의 베지어 곡선은 풀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ㄴ. 일반화 :: n 단계의 베지어 곡선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P0~Pn 까지의 점들은 사용자가 정의한 조정점들의 순서) 일반화된 베지어 곡선의 식을 보면 아래와 같은 꼴의 식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다항식으로 정리하면 밑과 같..
2022.08.17 -
[일반기계기사] 드릴 가공 종류
가공 종류 작업 단축기호 드릴링(Drilling) 구멍을 뚫는 작업 D 보링(Boring) 뚫은 구멍이나 주조한 구멍을 넓히는 작업 B 리밍(Reaming) 뚫린 구멍을 정밀하게 다듬질하는 작업 FR 태핑(Tapping) 탭을 사용하여 암나사를 가공하는 작업 스폿페이싱(Spot Facing) 볼트가 앉을 자리를 만드는 작업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볼트 머리가 묻히게 깊은 자리를 파는 작업 DCB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부를 묻히게 원뿔 자리를 파는 작업 DCS * 카운터 보링(DCB) 및 카운터 싱킹(DCS)은 자리파기 규격을 따라 설계한다.
2022.08.17 -
[일반기계기사] 드릴 각부의 명칭과 날끝각
(1) 몸통(Body) : 드릴의 몸체가 되는 부분. 홈이 있다. (2) 홈(Flute) ▷ 칩 배출. 절삭유 공급 통로 : 드릴 몸체에 직선 또는 나선으로 파여진 홈을 말하며, 칩을 배출하고 절삭유를 공급하는 통로다. (3) 생크(Shank) ▷ 자루. 드릴 고정 부분. : 드릴을 고정하는 부분이며 곧은 것과 모스 테이퍼 진 것이 있다. (4) 탱(Tang) ▷ 드릴의 회전력 제공 : 테이퍼 자루 끝을 납작하게 한 부분으로, 드릴에 회전력을 준다. (5) 마진(Margin) ▷ 드릴의 위치, 크기 결정. 예비적인 날. 날의 강도 보강 : 드릴 홈의 가장자리에 있는 좁은 면으로 드릴의 위치를 잡아주고, 드릴의 크기를 정하며, 예비적인 날의 역할 또는 날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6) 웨브(Web..
2022.08.17 -
[일반기계기사] 셰이퍼(shaper)에 대해서 알아보자
ㄱ. 셰이퍼(Shaper)란? : 바이트가 고정된 램이 왕복 운동을 하고, 공작물은 바이트의 운동 방향에 직각으로 이송되어 바이트의 형상과 관계없이 평면 가공만을 하게 된다.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지만 밀도를 얻기 어렵다. 또한, 바이트가 전진할 때만 절삭을 하기 때문에, 귀환 행정으로 후진할 땐 시간만 손실되므로 작업 능률이 떨어진다. 셰이퍼의 호칭은 램의 최대 행정으로 표시하며, 400, 500, 600, 700mm 의 것이 있다. ▶ 바이트 고정, 램 왕복 운동 ▶ 공작물 이송 방향 ⊥ 바이트 운동 방향 ▶ 구조 간단, 취급 용이 ▶ 낮은 정밀도와 작업 능률 ㄴ. 셰이퍼의 크기 표시 방법 ▶ 램의 최대 행정 길이 ▶ 테이블의 크기(길이, 너비, 높이)로 표시 ㄷ. 급속 귀환장치 기구 ▶ 크랭..
2022.08.17 -
[일반기계기사] 슬로터(Slotter)에 대해서 알아보자
ㄱ. 슬로터(Slotter)란? : 슬로터는 세이퍼를 직립형으로 한 공작기계로, 상하 운동하는 램의 절삭 운동으로 테이블에 수평으로 설치된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기계다. ㄴ. 슬로터의 크기 표시 방법 ▶ 램의 최대 행정 거리 ▶ 테이블의 이동 거리 ▶ 회전테이블의 지름 ㄷ. 급속 귀환장치 기구 ▶ 크랭크기구 ▶ 유압기구 ▶ 래크와 피니언 ▶ 휘트워드 급속귀환 운동기구 ㄹ. 가공 분야 ▶ 구멍의 내면, 키홈, 곡면
2022.08.17 -
8월 16일 스터디카페 출첵
2022.08.16(화)
2022.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