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3)
-
[산업안전기사] 재해발생 매커니즘 - 아담스의 연쇄이론
아담스(Adams)의 연쇄이론 (1) 관리구조 : 목적(목적, 수행표준, 사정, 측정), 조직(명령체제, 관리의 범위, 권한과 임무의 위임, 스탭), 운영(설계, 설비 등) (2) 작전적(전략적) 에러 : 관리자나 감독자에 의해 만들어진 에러 ㄱ. 관리자의 행동 : 정책, 목표, 권위, 결과에 대한 책임 등과 같은 영역에서 의사결정이 잘못 행해지거나 행해지지 않음 ㄴ. 감독자의 행동 : 행위, 책임, 권위, 규칙 등과 같은 영역에서 관리상의 잘못 또는 생략이 행해짐 (3) 전술적 에러 :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를 전술적 에러라 일컫음 (4) 사고 : 사고의 발생 무상해사고, 물적 손실사고 (5) 상해 또는 손해 : 대인, 대물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사고와 재해 용어의 정의
가. 용어의 정의 (1) 안전사고 : 고의성이 없는 어떤 불안전한 행동이나 조건이 선행되어 발생하는 사고 (2) 재해(Loss, Calamity) : 안전사고의 결과로 일어난 인명피해 및 재산의 손실 (3) 무재해 사고(Near Accident, 아차사고) : 인명이나 물적 등 일체의 피해가 없는 사고 나. 산업재해(Industrial Losses) (1) 일반적 정의 : 통제를 벗어난 에너지의 이탈로 인하여 입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 현상 (2)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정의 :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자재 등에 의하거나 작업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환되는 것 다. 중대재해(시행규칙) (1)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산업재해의 상해 정도별 분류
■ 통계적 분류 사망, 중경상 (8일 이상의 노동 손실), 경상해(1일 이상, 7일 이하의 노동 손실), 무상해사고 ■ ILO에 의한 분류 ㄱ. 사망 : 안전사고로 사망하거나 혹은 부상의 결과로 사망한 것 ㄴ. 영구 전노동 불능 : 부상의 결과로 근로 기능을 완전히 상실(신체장애등급 1~3등급) ㄷ. 영구 일부노동 불능 : 부상의 결과로 신체의 일부가 근로 기능을 완전히 상실(신체장애등급 4~14등급) ㄹ. 일시 전노동 불능 : 의사의 소견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상해 ㅁ. 일시 일부노동 불능 : 의사의 진단에 따라 부상 다음날 또는 그 이후의 정규노동에 종사할 수 없는 상태 ㅂ. 구급처치상해 : 응급처치 또는 자가 치료를 받고 당일 정상작업에 임할 수 있는 상해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동작경제 원칙 (Principle of Motion Economy)
■ 랄프 모서 반즈(Ralph M. Barnes)의 동작경제 원칙 ㄱ.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 (1) 두 손의 동작은 같이 시작하고 같이 끝낸다. (2) 휴식시간을 제외하고 양손이 같이 쉬지 않는다. (3) 두 팔의 동작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인다. (4) 손과 신체의 동작은 작업을 원만하게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동작 등급을 사용한다. (5) 가능한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고, 방향이 갑자기 크게 바뀌는 직선동작은 피한다. (6) 평상시 사용하던 근육을 사용한다. (7) 가능하면 쉽고 자연스러운 리듬이 작업 동작에 생기도록 작업을 배치한다. (8) 눈의 초점을 모으는 작업은 가능하면 없애고, 불가피한 경우엔 눈의 초점이 모아지는 서로 다른 두 작업 지점 간의 거리를 짧게..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안전관리조직의 3가지 형태
1. Line형 조직 (직계식 조직) 1) 안전관리에 관한 계획에서 실시, 평가에 이르기까지 안전의 모든 것을 생산조직(Line)을 통하여 관리. 2) 생산조직 전체에 안전관리기능 부여 3) 안전을 전문으로 분담하는 조직이 없다. 4) 근로자 수 10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 2. Staff형 조직 (참모식 조직) 1)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자를 통해 안전관리에 대한 계획 등을 하는 안전조직. 2) 안전과 생산을 분리된 개념으로 취급할 우려가 있음. 3) 근로자 수 100~500명 사이의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 3. Line Staff 복합형 1) Line형과 Staff형의 장점을 취한 조직 형태 2) 안전관리의 계획수립 및 추진 용이 3) 근로자 수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안전관리의 대상(4M) 및 순서(PDCA)
■ 안전관리의 대상(4M) 1. Man (인간적 요인) : 사람의 실수, 착각, 무의식, 피로 등 2. Machine (기계적 요인) : 기계의 결함, 기계의 안전장치 미설치 등 3. Media (작업적 요인) : 작업순서, 작업방법, 작업환경 등 4. Management (관리적 요인) : 안전관리규정, 안전교육 및 훈련 미흡 등 ■ 안전관리의 순서(PDCA) 1. 계획 (Plan) : 현장 실정에 맞는 적합한 안전관리방법 계획을 수립 2. 실시 (Do) : 안전관리 활동의 실시, 교육 및 훈련의 실행 3. 검토 (Check) : 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검사 및 확인 4. 조치 (Action) : 검토된 안전 관리 활동을 조치, 더 나은 활동을 고려하여 다음 계획에 반영 위의 PDCA 과정을 Cycle화..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