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143)
-
[건설안전기사] 아스팔트 제품 종류
1. 아스팔트 프라이머 (Asphalt primer) ㄱ. 아스팔트와 휘발성이 높은 용제를 혼합하여 제조 ㄴ. 방수층을 만들 때 콘크리트 바탕에 제일 먼저 사용되는 재료 2. 아스팔트 유제 (Asphalt emulsion) 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아스팔트 미립자를 수중에 분산시킨 다갈색의 액체 ㄴ. 도로포장용, 특수시멘트 혼합용, 방수도료 등으로 사용 3. 아스팔트 펠트 (Asphalt felt) ㄱ. 펠트상으로 만든 원지에 연질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켜 롤러로 압착하여 제조 ㄴ. 아스팔트 방수 중간층 재료, 모르타르 바탕의 방수에 사용 4. 아스팔트 루핑 (Asphalt roofing) ㄱ. 아스팔트의 펠트 양면에 블로운 아스팔트를 가열 및 용융시켜 피복한 다음 그 위에 활석 또는 운..
2022.08.06 -
[건설안전기사] 콘크리트 블리딩, 레이턴스 현상
1. 블리딩 현상 (Bleeding) ㄱ. 정의 : 콘크리트 타설 후 시멘트, 골재입자 등의 비중차에 의한 침하에 의해 물이 분리 및 상승되어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 (부착저해로 수밀성, 내구성 저하) ㄴ. 블리딩 현상의 방지책 가. 단위 수량을 가능한 적게 하고, 된비빔 콘크리트를 타설 나. 작은 입자를 적당하게 포함하는 잔골재를 사용 다. AE제, AE감수제, 고성능 감수제(포졸란 등)를 사용 라.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 2. 레이턴스 현상 (Laitance) : 블리딩에 의해 떠오른 미립물이 그 후 콘크리트 표면에 엷은 막으로 침적되는 현상 (이후 이음 콘크리트 할 때 강도 감소) 3. 재료분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 : 단위 수량, 골재의 입도 및 입형, 혼화재의 종류, 골재의 종류
2022.08.06 -
[산업안전기사] 재해율 관련 계산 공식 (연천인률, 도수율 등)
가. 연천인률(年千人率) ㄱ. 근로자 1000인당 1년간 발생하는 사상자수 ㄴ. 연천인률 계산 방법 나. 도수율(FR) ㄱ. 산업재해의 발생 빈도를 나타내는 것. 연간 총근로시간 합계 100만 시간당 재해 발생 건수. ㄴ. 도수율 계산 방법 다. 연천인률과 도수율과의 관계 ㄱ. 연천인률 = 도수율 x 2.4 ㄴ. 도수율 = 연천인률 ÷ 2.4 라. 강도율(SR) ㄱ. 연간 총근로시간 1000시간당 재해에 의해 손실된 근로일수 ㄴ. 강도율 계산 방법 마. 위험률 = 사고의 크기 × 사고의 빈도 ㄱ. 위험(Risk) = 사고발생빈도 x 손실 ㄴ. 만인율 바. 환산도수율 및 환산강도율 ㄱ. 환산도수율 (1) 입사에서 퇴직할 때까지 30년 동안의 근로시간인 10만시간 당 재해건수 (2) 환산도수율 계산 방법 ㄴ..
2022.08.06 -
[산업안전기사] 재해조사 목적 및 순서
가. 재해조사 목적 : 동종재해 및 유사재해의 재발 방지 나. 재해조사 순서 (1) 현장확인 (2) 목격자 및 관계자 진술 (3) 자료수집 (4) 검증(사고의 실연 검증) (5) 분석 및 평가 (6) 재확인 다. 재해조사 유의사항 (1) 재해장소에 들어갈 때에는 예방과 유해성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 (2) 재해발생 후 현장보존에 유의하면서 물적 증거를 수집 (3) 사실만을 수집 (4) 조사는 신속히 행하고, 필요시 긴급조치를 통해 2차 재해를 방지 (5) 목격자가 증언하는 객관적 사실 외에는 참고만 한다. (6) 공정하게 조사하며 필히 2인 이상이 실시한다.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위험 예지 훈련
(1) 위험 예지 훈련의 안전 선취를 위한 방법 ㄱ. 감수성 훈련 ㄴ. 단시간 미팅 훈련 ㄷ. 문제 해결 훈련 (2) 위험 예지 훈련의 기초 4라운드 진행 방법 ㄱ. 현상파악 : 어떤 위험이 잠재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라운드 ㄴ. 본질추구 : 가장 위험한 요인을 합의로 결정하는 라운드 ㄷ. 대책수립 :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라운드 ㄹ. 목표달성 : 수립한 대책 가운데 질이 높은 항목에 합의하는 라운드 (3) TBM(Tool Box Meeting) : 5~7명 정도의 인원이 직장, 현장, 공구상자 등의 근처에서 작업 시작 전 5~15분, 작업 종료시 3~5분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에 행하는 미팅 (4) 단시간 미팅 즉시즉응훈련 진행 요령(TBM 5단계) : 즉석에서 전원이 역할 연습하여 체험학습하는 기법..
2022.08.05 -
[산업안전기사] 무재해운동 (정의, 원칙, 3요소)
가. 무재해운동의 정의 및 이념 ㄱ. 사업주와 근로자가 참여하여 재해예방을 위한 자율적인 운동. 사업장 내의 잠재적인 재해요인을 사전에 발견하여 근원적으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운동을 의미한다. ㄴ. 무재해운동의 근본이념은 인간존중의 이념이며, 안전과 건강을 다 함께 선취하는 운동이다. 나. 무재해운동의 3원칙 ㄱ. 무(Zero)의 원칙 : 산재 위험의 잠재 요인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원칙 ㄴ. 선취의 원칙 : 위험 요인 행동 전에 예지, 발견 ㄷ. 참가의 원칙 : 전원이 참가 다. 무재해운동 추진의 3기둥 (무재해운동의 3요소) ㄱ. 최고 경영자의 경영자세 ㄴ. 라인화의 철저 ㄷ. 직장의 자주활동의 활발화 라.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ㄱ. 비평금지 ㄴ. 자유분방 ㄷ. 대량발언 ㄹ. 수정발언 마. 무재..
20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