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135)
-
[소방설비기사] 제벡, 펠티에, 톰슨 효과
■ 제벡 효과 (Seebeck Effect) 두 개의 금속 도선 접합 후, 접합 부위에 온도차를 주면 전류의 흐름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효과를 제벡 효과라고 한다. ■ 펠티에 효과 (Peltier Effect) 금속, 반도체를 접속한 두 점 사이에 폐회로를 구성하고 전류를 흘리면 한 쪽 접점은 열이 발생하고 다른 쪽 접점은 열을 흡수하는 현상을 펠티에 효과라고 한다. ■ 톰슨 효과 (Thomson Effect) 동일한 금속에 전류를 흘리면 온도 차이 점에서 흡열하거나 발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톰슨 효과라 한다. 펠티에 효과와 톰슨 효과의 차이는 동일 금속이냐 아니냐로 나눌 수 있다. 제벡 효과 : 온도차 -> 기전력 발생 펠티에, 톰슨 : 전류 -> 발열, 흡열 반응
2022.07.25 -
[소방설비기사] Fool Proof 와 Fail Safe (풀푸르프, 페일 세이프 구조)
■ Fool Proof Fool 말 그대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잘못 사용하더라도 실수가 나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놔야 하며, 처음보는 누구라도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수 있도록 만드는 구조를 뜻합니다. ■ Fail Safe Fail Safe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Fail 즉 고장이 나더라도 Safe 안전한 구조를 뜻합니다. 기계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나더라도 안전한 구조를 Fail Safe 구조라고 말합니다.
2022.07.25 -
[소방설비기사] 동식물유류에서 요오드(아이오딘, I) 값이 크다는 의미
■ 동식물유류에서 요오드(I) 값이 크다는 의미 ⓐ 불포화도가 높다. ⓑ 건성유이다. ⓒ 자연발화성이 높다. ⓓ 산소와 결합성이 높다.
2022.07.25 -
[소방설비기사] 위험물의 종류 및 성상
위험물 종류 성질 물질 소화방법 제1류위험물 산화성 고체 염소산염류, 브롬산염류 등 주수소화(냉각) 제2류위험물 가연성 고체 황화린, 적린, 유황 및 금속분 등 주수소화 금속분 (건조한 모래로 질식소화) 제3류위험물 자연발화성 물질 금수성 물질 황린, 칼륨, 나트륨 등 질식소화 황린 - 주수소화 가능 제4류위험물 인화성 액체 석유류, 특수인화물 등 질식소화 수용성 액체 - 알코올 포로 소화 제5류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등 주수소화 제6류위험물 산화성 액체 과염소산, 질산 등 주수소화
2022.07.20 -
[소방설비기사] 플래시오버, 백드래프트 현상
■ 플래시오버(FlashOver)란? 가연성 가스를 동반하는 '연기'와 '유독가스'가 방출하여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실내 전체에 순간적으로 연기가 충만해지는 현상. 일시에 호염이 크게 발생하는 상태. ⓐ 발생기 : 성장기 -> 최성기 분기점 ⓑ 발생시간 : 화재 발생 후 6-7분경 ⓒ 실내온도 : 800-900[˚C] ⓓ 최성기시간 : 내화구조는 60분 후 (섭씨 950도), 목조건물은 10분 후 (섭씨 1100도) ■ 플래시오버에 미치는 영향 ⓐ 내장재료의 성상 ⓑ 개구율 ⓒ 화원의 크기 ⓓ 실내 표면적 크기 ⓔ 가연물의 양과 종류 ■ 플래시오버 지연대책 ⓐ 내장재를 내연재료로 ⓑ 내장재 열전도율을 큰 재료로 할 것 ⓒ 내장재 두께가 두꺼울 것 ⓓ 개구부 면적을 작게할 것 ■ 연기농도와 가시거리..
2022.07.19 -
[소방설비기사] 유류탱크에서 발생하는 현상 (보일오버&슬롭오버)
■ 보일오버 (Boil Over) 중질유 탱크에서 장시간 조용히 연소하다 탱크의 잔존기름이 분출하는 현상 유류탱크 바닥에 물 또는 물-기름에 에멀션이 섞여있을 때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 ■ 슬롭오버 (Slop Over) 물이 연소유의 뜨꺼운 표면에 들어갈 때, 기름표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 ■ 푸리에 법칙 q = kA(dt/dl) k: 열전도도 A: 열전달면적[m^2] dt: 온도차[˚C] dl : 미소거리[m] ■ 슈테판-볼츠만 법칙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며, 열전달면적에 비례한다는 공식.
2022.07.19